• 2021.09.13
    • 29615

    딥러닝의 대두 이후 구체적으로 인공지능의 판단이 어떤 매커니즘으로 결론이 도출되었는지 알 수 없어, 생명과 존엄이 관련된 곳에는 도입이 지체됐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설명가능 인공지능(Explainable AI)의 필요성이 요구됐으나 여전히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블랙박스로 치부되는 실정이다. 본 고는 현실과 이상의 간극을 좁히고자, 실제 설명가능 인공지능 분야의 주요 기법들을 소개한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지원 정책 방향 등에 대한 시사점을 고민해본다.

    • 2021.09.06
    • 6516
    • 행사명 : Digital Triangle Initiatives 2021 컨퍼런스
    • 일시 : 2021년 9월 10일 (금), 09:30~11:45
    • 행사사이트 : http://kisdi.mlive.kr
    • 2021.09.06
    • 5535
    • 입찰마감 : 2021.09.17.(금) 10:00까지
    • 서류접수 : 나라장터 e-발주시스템(http://www.g2b.go.kr/index.jsp)
    • 2021.09.03
    • 10745

    디지털 플랫폼 비즈니스는 단순히 수요 공급을 연결하는 역할을 넘어 다양한 산업이 융합해 혁신이 창발하는 플랫폼으로 변화 중이다.(후략)

    • 2021.09.01
    • 6669

    목차 주요 결과 요약 제1장 조사개요 1절 조사 개요 2절 주요 용어 해설 3절 모집단 정의 4절 모수 추정 제2장 조사결과 1절 일반 현황 2절 인공지능 기술 및 사업현황 3절 매출 현황 4절 인력 현황 5절 투자 및 개발 현황 6절 애로사항 및 건의사항 부록 부록1 주요 주관식 문항 정리 부록2 통계표 3절 모집단 정의 부록3 조사표

    • 2021.09.01
    • 8007

    목차 주요 결과 요약 제1장 조사개요 1절 조사 개요 2절 주요 용어 해설 3절 모집단 정의 4절 모수 추정 제2장 조사결과 1절 일반 현황 2절 인공지능 기술 및 사업현황 3절 매출 현황 4절 인력 현황 5절 투자 및 개발 현황 6절 애로사항 및 건의사항 부록 부록1 주요 주관식 문항 정리 부록2 통계표 3절 모집단 정의 부록3 조사표

    • 2021.09.01
    • 6211

    목차 주요 결과 요약 제1장 조사개요 제1절 조사 목적 및 필요성 제2절 모집단 1. 모집단 정의 2. 모집단 추출 방법 3. 후보 모집단 수집 4. 모집단 추출 결과 제3절 실태조사 개요 1. 조사 대상 및 표본 수 2. 조사 방법 및 기간 3. 조사 내용 제4절 VR/AR산업 분류 제1절 조사 목적 및 필요성 제2장 조사결과 제1절 VR/AR산업 현황 1. 분야별 기업 현황 2. VR/AR 관련 기술 활용 현황 3. VR/AR사업 비중 4. VR/AR사업 영위 기간 제2절 매출 현황 1. 최근 3년간 매출액 2. 고객 유형 3. 판매 방법 제3절 수출 현황 1. 수출액 2. 수출 기업 수 3. 분야별 수출액 4. 수출 대상 지역별 수출액 5. 수출 대상 유형 및 판매경로 6. 수출 애로사항 제4절 산업 전망 1. VR/AR사업 성장단계 2. 국내・외 VR/AR산업 전망 3. VR/AR사업 성장 예측 제5절 인력 현황 1. VR/AR 인력 2. 성별 및 고용형태 3. 직무별 인력 4. VR/AR산업 인력 채용 시 애로사항 제6절 R&D 현황 1. 부설연구소 보유 여부 2. R&D 투자 현황 3. VR/AR 관련 R&D 자금 조달 방법 4. VR/AR 관련 지식재산권 보유 현황 5. 기술격차 해소방안 부록: 설문지

    • 2021.09.01
    • 7374

    목차 주요 결과 요약 제1장 조사개요 제1절 조사 목적 및 필요성 제2절 모집단 1. 모집단 정의 2. 모집단 추출 방법 3. 후보 모집단 수집 4. 모집단 추출 결과 제3절 실태조사 개요 1. 조사 대상 및 표본 수 2. 조사 방법 및 기간 3. 조사 내용 제4절 VR/AR산업 분류 제1절 조사 목적 및 필요성 제2장 조사결과 제1절 VR/AR산업 현황 1. 분야별 기업 현황 2. VR/AR 관련 기술 활용 현황 3. VR/AR사업 비중 4. VR/AR사업 영위 기간 제2절 매출 현황 1. 최근 3년간 매출액 2. 고객 유형 3. 판매 방법 제3절 수출 현황 1. 수출액 2. 수출 기업 수 3. 분야별 수출액 4. 수출 대상 지역별 수출액 5. 수출 대상 유형 및 판매경로 6. 수출 애로사항 제4절 산업 전망 1. VR/AR사업 성장단계 2. 국내・외 VR/AR산업 전망 3. VR/AR사업 성장 예측 제5절 인력 현황 1. VR/AR 인력 2. 성별 및 고용형태 3. 직무별 인력 4. VR/AR산업 인력 채용 시 애로사항 제6절 R&D 현황 1. 부설연구소 보유 여부 2. R&D 투자 현황 3. VR/AR 관련 R&D 자금 조달 방법 4. VR/AR 관련 지식재산권 보유 현황 5. 기술격차 해소방안 부록: 설문지

    • 2021.09.01
    • 5829

    목차 제1장 조사개요 1. 조사 목적 2. 조사 연혁 3. 조사 내용 4. 조사 범위 및 용어 정의 5. 표본 설계 6. 상대표준오차 제2장 이러닝 공급시장 현황 1. 사업자 일반 현황 2. 이러닝 공급 시장 규모 3. 투자 현황 4. 이러닝 인력 5. 해외 시장 진출 현황 6. 사업추진 현황 7. 기술개발 현황 및 시장 동향 8. 지적재산권 9. 경영상 애로사항 10. 원격대학교 제3장 이러닝 수요시장 현황 1. 조사 개요 요약 2. 국내 이러닝 수요시장 규모 3. 개인 4. 사업체 5. 정규교육기관 6. 공공기관 제4장 실태조사 통계집 1. 공급시장 2. 개인 3. 사업체 4. 정규교육기관 5. 정부/공공기관 부록. 실태조사 설문지

    • 2021.09.01
    • 8778

    목차 제1장 조사개요 1. 조사 목적 2. 조사 연혁 3. 조사 내용 4. 조사 범위 및 용어 정의 5. 표본 설계 6. 상대표준오차 제2장 이러닝 공급시장 현황 1. 사업자 일반 현황 2. 이러닝 공급 시장 규모 3. 투자 현황 4. 이러닝 인력 5. 해외 시장 진출 현황 6. 사업추진 현황 7. 기술개발 현황 및 시장 동향 8. 지적재산권 9. 경영상 애로사항 10. 원격대학교 제3장 이러닝 수요시장 현황 1. 조사 개요 요약 2. 국내 이러닝 수요시장 규모 3. 개인 4. 사업체 5. 정규교육기관 6. 공공기관 제4장 실태조사 통계집 1. 공급시장 2. 개인 3. 사업체 4. 정규교육기관 5. 정부/공공기관 부록. 실태조사 설문지

    • 2021.09.01
    • 5912

    제 1 장 조사개요 1. 추진 배경 1) SW 투자액 비중 2) SW R&D 투자액 비중 3) 기업부설연구소 및 전담 연구조직 2. 조사 개요 1) 조직별 SW인력 현황 2) 직무별 SW인력 현황 3) 학력별 SW인력 현황 4) 2020년 SW인력 채용 계획 5) SW 신기술 분야 인력 현황 6) SW인력 충원 주요 방법 7) 직무전환 재교육 필요 교과과정 8) 직무전환 재교육 추진 시 애로사항 3. 조사 개요 1) SW 기술 도입 형태 2) SW 기술 외부 개발 이유 3) SW 신기술 도입 현황 4) SW 신기술 실행 단계 5) SW 신기술 도입 형태 6) SW 신기술 도입 시 애로사항 4. 조사 개요 1) 디지털전환 추진 분야 2) 디지털전환 추진 목적 3) 디지털전환 관련 기업전략 4) 디지털전환 관련 조직문화 5) 디지털전환 관련 SW 기술 확보 수준 6) 디지털전환 관련 SW 기술 확보 수준이 낮은 이유 7) 디지털전환 관련 제품/서비스 혁신 수준 8) 디지털전환 관련 공정혁신 수준 9) 디지털전환 관련 비즈니스 모델 혁신 역량 수준 10) 디지털전환 관련 비즈니스 모델 혁신의 주된 고려사항 11) 디지털전환 추진과 관련된 사내 문화 및 환경 12) 디지털전환 추진 시 주된 애로사항 13) 디지털전환 촉진 관련 정부 건의사항 5. 데이터 현황 1) 데이터 수집 여부 및 활용 수준 2)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활용 3) 데이터 분석 역량 부록. 조사표

    • 2021.09.01
    • 6897

    제 1 장 조사개요 1. 추진 배경 1) SW 투자액 비중 2) SW R&D 투자액 비중 3) 기업부설연구소 및 전담 연구조직 2. 조사 개요 1) 조직별 SW인력 현황 2) 직무별 SW인력 현황 3) 학력별 SW인력 현황 4) 2020년 SW인력 채용 계획 5) SW 신기술 분야 인력 현황 6) SW인력 충원 주요 방법 7) 직무전환 재교육 필요 교과과정 8) 직무전환 재교육 추진 시 애로사항 3. 조사 개요 1) SW 기술 도입 형태 2) SW 기술 외부 개발 이유 3) SW 신기술 도입 현황 4) SW 신기술 실행 단계 5) SW 신기술 도입 형태 6) SW 신기술 도입 시 애로사항 4. 조사 개요 1) 디지털전환 추진 분야 2) 디지털전환 추진 목적 3) 디지털전환 관련 기업전략 4) 디지털전환 관련 조직문화 5) 디지털전환 관련 SW 기술 확보 수준 6) 디지털전환 관련 SW 기술 확보 수준이 낮은 이유 7) 디지털전환 관련 제품/서비스 혁신 수준 8) 디지털전환 관련 공정혁신 수준 9) 디지털전환 관련 비즈니스 모델 혁신 역량 수준 10) 디지털전환 관련 비즈니스 모델 혁신의 주된 고려사항 11) 디지털전환 추진과 관련된 사내 문화 및 환경 12) 디지털전환 추진 시 주된 애로사항 13) 디지털전환 촉진 관련 정부 건의사항 5. 데이터 현황 1) 데이터 수집 여부 및 활용 수준 2)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활용 3) 데이터 분석 역량 부록. 조사표

    • 2021.08.30
    • 21

    SW생산, SW수출, SW인력, 신SW산업 분야 등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다양한 통계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2021.08.26
    • 11441

    디지털 경제의 부상은 디지털 분야에서 세계 각국의 치열한 경쟁을 불러오고 있으며, 이는 디지털 주권, 데이터 주권 등에 대한 논의와도 연결된다.

    • 2021.08.24
    • 7804
    • 일시 : 2021.08.17.(화) 15:00~17:00
    • 장소 :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유튜브 생중계
    • 2021.08.20
    • 7337
    • 일시 : 2021.08.12.(목), 14:00~16:00
    • 장소 : http://www.youtube.com/SPRimedia
    • 2021.08.17
    • 5308
    • 입찰마감 : 2021.08.30.(월) 12:00까지
    • 서류접수 : 나라장터 e-발주시스템(http://www.g2b.go.kr/index.jsp)
    • 2021.08.12
    • 6654

    [download id=22875] 온라인으로 읽기 칼럼 | COLUMN 화웨이의 출사표, 훙멍 OS 2.0 포커스 | FOCUS 포스트 코로나 시대, 디지털 전환(DX)으로 바뀌는 미래, 디지털과 그린의 공존: 지속가능발전을 향하여 이슈 | ISSUE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는 NoCode와 RPA SW, 개발자의 일자리 환경: 개발자의 직업 가치와 일자리 만족도

    • 2021.08.12
    • 14236

    COVID-19는 세상의 시계를 멈추게 하였지만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디지털화(digitalization)는 가속화되고 있다. 새로운 기술은 우리 삶의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바꾸어 놓는 동시에 경제적 양극화, 고용불안, 인간 소외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21세기 들어 가속화된 기술 패러다임의 변화는 유례없는 속도로 모든 것을 변화하게 하였다. 지금 우리에게는 변동성(Volatility)이 크고 불확실(Uncertainty)하며 복잡성(Complexity)과 모호성(Ambiguity)이 극대화된 ‘VUCA’ 시대가 가속화되고 있다.(후략)

    • 2021.08.12
    • 15917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류는 지금까지의 경험과는 다른 형태의 극심한 고통과 완전히 새로운 세상을 직면하고 있다. 전혀 예상하지 못한 상황으로 인해 미래의 불확실 성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다가오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세계는 현재와 완전히 다른 뉴노멀 시대가 될 것이다. 전통 산업구조의 종언과 비대면에 기초한 뉴노멀 시대를 열어가는 위기와 기회가 동시에 오고 있는데, 본고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디지털 전환(DX)으로 바뀌는 미래의 모습을 전망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