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시 :2019년 1월 29일(화) 16:00~18:00
- 장소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대회의실
2018년 4월, SW정책 오픈 커뮤니티가 더 많은 SW산업 관계자분들과 소통하고자 홈페이지/ 블로그로 채널을 확장하였습니다. 그동안 SW정책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로 이슈토론을 진행하고, 정책 아이디어에 대한 제안도 듣고, 정책 자료를 소개하기도 했습니다. 지난 11월 말 진행된 SW정책 오픈커뮤니티의 만족도 조사 결과를 발표합니다. 아쉬운 점, 개선사항을 잘 분석하고 적용하여 내년에는 더욱 알차고 깊게 소통할 수 있는 오픈 정책 커뮤니티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제조업 일자리 감소와 국내 경기 침체의 원인으로 중국과의 불공정한 무역을 지목하고, 수입액의 절반에 해당하는 물품에 대해 10~25%의 관세를 부과함(후략)
올해부터 중학교와 고등학교는 정보 과목을 신설하여 학생들에게 SW 교육을 시작했고, 초등학교의 경우 내년부터 실과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SW을 배우게 된다. 그래서인지 벌써 몇몇 지역을 중심으로 코딩 사교육 열풍이 후끈 달아오르고 있다. (후략)
제4차 산업혁명에서 혁신은 소프트웨어, 그리고 데이터의 흐름이 기반이 된다. 오죽하면 근래 들어 데이터를 원유나 통화(금전)에 비교할까. 데이터를 활용한 산업 육성은 성장을 위한 정부의 가장 큰 의제 중 하나가 되어야 함은, 누구나 공감하고 있는 전략이다.(후략)
현재 우리나라는 주요 산업의 불황으로 힘든 상황에 성장 동력원이 필요한 시점임
철강, 석유화학산업 등 주요 산업의 불황이 계속되고, 중국 및 인도 등 주변국의 산업 경쟁력 강화에 따른 위기 등 우리나라의 성장동력원이 절실해짐(후략)
지난 10월 29일부터 11월 20일부터 실시한,
'SW원격지 개발 활성화' 정책 인식 설문조사의 결과를 안내합니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 SW산업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자율주행 등 이 같은 산업을 좌우하는 두뇌, SW 하지만 잦은 분쟁이 계속되면서 앞으로 나아가야 할 이때, 법정 다툼으로 돈은 돈대로, 정신은 정신적으로 지쳐가고 힘들어하는 기업이 증가 추세입니다. SW사업 분쟁조정을 전담하는 기구도 거론되고 있으나, 근본적인 노력은 애초에 '분쟁'을 최소화하는 것 아닐까요? 그래서 묻습니다. SW산업 분쟁을 최소화하기 위해 반드시 개선되어야 할 것은 무엇인가요? 자유롭게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