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접수기간 : 2022년 7월 6일 ~ 2022년 7월 21일 17시까지 (정시 마감)
- 접수방법 :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채용 홈페이지(spri.brms.kr)에서 온라인 작성 및 입사지원 시 제출서류(석·박사학위 논문 PDF 파일 등) 제출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에서 수행하는 국가승인통계 2021년 보고서가 SW통계 홈페이지(Software Stat)에 업로드 완료 되었습니다.
제 1 장 조사개요 1. 일러두기 2. 조사개요 3. 조사 모집단 및 표본 4. 조사항목 및 용어해설 1. 일러두기 2. 조사개요 3. 조사 모집단 및 표본 4. 조사항목 및 용어해설 제 2 장 조사결과 Ⅰ. 일반 현황 1. 조직 형태 II. 경영 실적 1. 매출 현황 2. 연구개발 투자현황 Ⅲ. 사업 현황 1. 고객 유형별 소프트웨어 매출 비중 2. 유지관리 서비스 현황 Ⅳ. 인력 현황 1. 2021년 종사자 2. 2021년 소프트웨어부문 인력 3. 2021년 소프트웨어 전문인력 4. 2022년 인력 채용계획 5. 채용 애로사항 V. 기술 개발 환경 1. 주력사업별 기술개발 환경 2. 공개소프트웨어 활용 현황 Ⅵ. 신소프트웨어 1. 신소프트웨어 사업 진출 현황 2. 신소프트웨어 관련 기술 확보 방식 3. 신소프트웨어 공개SW 활용 현황 4. 신소프트웨어 사업 인력 5. 신소프트웨어 사업성과 6. 2022년 신소프트웨어 채용 계획 7. 신소프트웨어 사업 추진 애로사항 Ⅶ. 해외진출 현황 1. 해외진출 기업 생태계 2. 해외진출 활동 현황 3. 해외진출 관련 애로사항 1. 부록: 세부통계표 2. 부록: 조사설문지 3. 부록: 소프트웨어산업 품목 분류체계
제 1 장 조사개요 1. 일러두기 2. 조사개요 3. 조사 모집단 및 표본 4. 조사항목 및 용어해설 1. 일러두기 2. 조사개요 3. 조사 모집단 및 표본 4. 조사항목 및 용어해설 제 2 장 조사결과 Ⅰ. 일반 현황 1. 조직 형태 II. 경영 실적 1. 매출 현황 2. 연구개발 투자현황 Ⅲ. 사업 현황 1. 고객 유형별 소프트웨어 매출 비중 2. 유지관리 서비스 현황 Ⅳ. 인력 현황 1. 2021년 종사자 2. 2021년 소프트웨어부문 인력 3. 2021년 소프트웨어 전문인력 4. 2022년 인력 채용계획 5. 채용 애로사항 V. 기술 개발 환경 1. 주력사업별 기술개발 환경 2. 공개소프트웨어 활용 현황 Ⅵ. 신소프트웨어 1. 신소프트웨어 사업 진출 현황 2. 신소프트웨어 관련 기술 확보 방식 3. 신소프트웨어 공개SW 활용 현황 4. 신소프트웨어 사업 인력 5. 신소프트웨어 사업성과 6. 2022년 신소프트웨어 채용 계획 7. 신소프트웨어 사업 추진 애로사항 Ⅶ. 해외진출 현황 1. 해외진출 기업 생태계 2. 해외진출 활동 현황 3. 해외진출 관련 애로사항 1. 부록: 세부통계표 2. 부록: 조사설문지 3. 부록: 소프트웨어산업 품목 분류체계
자료) 법원행정처(2022.1)
주1) 2017년 이후 수치는 한국표준산업분류(KSIC, 10차)를 적용함
제 1 장 조사개요 01. 조사 목적 02. 조사 개요 03. 표본 설계 04. 조사 완료 및 유효표본 5. 주요 조사 내용 제 2 장 조사 결과 01. 일반 현황 및 재무 현황 02. 인력 현황 03. SW 기술 04. 디지털전환 도입 및 수준 현황 05. 데이터 현황 부록 조사표 01. 용어 정의 02. 조사 결과 부록표 03. 주요 항목 상대표준오차 04. 조사표
제 1 장 조사개요 01. 조사 목적 02. 조사 개요 03. 표본 설계 04. 조사 완료 및 유효표본 5. 주요 조사 내용 제 2 장 조사 결과 01. 일반 현황 및 재무 현황 02. 인력 현황 03. SW 기술 04. 디지털전환 도입 및 수준 현황 05. 데이터 현황 부록 조사표 01. 용어 정의 02. 조사 결과 부록표 03. 주요 항목 상대표준오차 04. 조사표
e-book 보기 포커스 FOCUS 교육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에듀테크 메타노믹스가 다가온다 이슈 ISSUE 국가 안보를 위한 인공지능(AI)과 3대 전략 기술 SW역량체계 현황 분석 및 시사점
중세 유럽을 뒤덮었던 흑사병은 유럽 인구의 약 1/3의 생명을 잃게 했다. 흑사병 이후 중요한 변화는 인간의 생각과 태도에 많은 변화를 주었다는 것이다. (후략)
디지털콘텐츠 산업은 5G 상용화, VR/AR, AI 등 디지털 기술과 융합으로 고부가가치 창출이 확대되면서 글로벌 경제에서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어 해외 주요국 및 기업들은 관련 분야의 R&D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 (후략)
가파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ESG(Environment, Social, and Governance) 경영 트렌드는 기업 환경에 새로운 바람을 몰고 왔다. 특히 세계는 기후 변화 대응을 촉구하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고 있다. (후략)
e-book 보기 포커스 FOCUS 글로벌 디지털 플랫폼 패권과 한국:국제정치학의 시각 지수로 본 한국 디지털 전환의 방향 기업 성과를 높이는 인공지능 트렌드 TREND 총체적 경험(Total eXperience)의 최근 트렌드 이슈 ISSUE 인공지능·플랫폼 패러다임과 미·중 기술 패권 AI Index 2022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2022년 초, 삼성·LG전자 두 기업이 공통으로 꺼낸 화두는 ‘경험’이었다. LG전자 조주완 사장은 신년 메시지에서 고객에 대한 깊은 이해와 공감을 바탕으로 디지털 전환을 추진해 혁신적인 경험을 제공하자고 말했으며, 삼성전자 한종희 부회장 역시 CES 2022에서 개인의 취향과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맞춤형 경험의 비전을 제시하였다.
인공지능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보급률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디지털 전환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어떤 주체가 추진하는 어떤 과정을 통해 어떤 애로와 성과를 담보하는지,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어떤 조건들이 필요한지. 누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디지털 전환의 수준을 측정하고 성공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많은 고민이 필요한 시기이다. 이에, 주요국과 기관들은 앞 다투어 디지털 전환과 관련된 지수들을 제시하고 국가 단위의 수준 측정을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