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바로가기
  • 주메뉴 바로가기

SPRi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 연구
    • 전체자료
    • 연구자료
    • 간행물
      • - SW중심사회
      • - 산업연간보고서
      • - 승인통계보고서
      • - AI 브리프
      • - 이전 간행물
  • 행사
    • 전체행사
    • 컨퍼런스
    • 포럼
    • 세미나
  • 통계
    • 통계서비스
    • 간행물
    • 정보
    • 알림
  • SPRi
    • 소개
      • - 연혁
      • - 인사말
      • - 미션+비전
      • - CI소개
      • - 조직
      • - 경영공시
      • - 오시는 길
    • 알림
      • - 공지사항
      • - 미디어
      • - 정보공개
SPRi POPUP3 ENGLISH
SPRi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SPRi POPUP3 ENGLISH
    • 산업/정책 동향
    • 유호석
    • 2018.04.30
    • 19418
    다가온 멀티 클라우드, 다가올 인터 클라우드

    다양한 사용자 기업에게 클라우드 간에 선택의 폭을 넓히는‘ 멀티 클라우드’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후략)

    • 멀티 클라우드
    • 인터 클라우드
    • 월간SW중심사회 2018년 4월호
    • 산업/정책 동향
    • 이현승
    • 2018.04.30
    • 20405
    구글과 오라클 간 자바 API의 분쟁 역사 - (1)

    1995년 썬(SUN)이 발표한 자바 플랫폼이 SW업계에서 널리 쓰이게 되면서, 썬은 자바 SE(Standard Edition)와 자바 ME(Micro Edition)를 GPL(General Public License)로 공개하였고, 휴대기기용 자바 ME의 사용권 사업에 집중하였음 (후략)

    • 자바 API
    • 월간SW중심사회 2018년 4월호
    • 산업/정책 동향
    • 권영환
    • 2018.04.30
    • 21278
    공개SW 활용 동향

    ▪ 공개SW는 기존 영역(예: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과 새 영역(예: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에서 모두 중요해지고 있음
    ▪ 특히, 허용적 사용권(Permissive License)의 증가와 GPL(GNU Public License)의 감소는 공개SW의 상업적 활용의 증가를 의미함

    • 공개SW
    • 월간SW중심사회 2018년 4월호
    • SPRi 칼럼
    • 허정
    • 2018.04.27
    • 13689
    소프트웨어 기업, 목표를 시장 점유율이 아닌 지갑 점유율 확대로 전환해야 할 때

    마케팅에서는 고객 가치를 장기적으로 극대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지갑 점유율이라는 개념을 사용하고 있다. 이전까지 대부분의 기업은 현재 시장 내에서 경쟁사 대비 시장 점유율을 극대화하는 것을 마케팅의 목표로 수립하는 경우가 많았다. (후략)

    • 소프트웨어 기업
    • 월간SW중심사회 2018년 4월호
    • SPRi 칼럼
    • 송지환
    • 2018.04.27
    • 13966
    소프트웨어 안전, 미리 대비하라!

    2011년 발사된 중국 우주정거장‘ 톈궁(天宮) 1호’는 2016년 3월에 통신이 끊긴 지 거의 2년만인 2018년 4월 2일 아침 남태평양 바다에 추락하고 말았다. (후략)

    • 소프트웨어 안전
    • 월간SW중심사회 2018년 4월호
    • SW정책자료
    • 2018.04.26
    • 2876
    공개 소프트웨어 연구개발 수행 가이드라인
    공개SW 연구개발 수행 가이드라인 공표 기관 혹은 기업 담당자가 공개SW 연구개발 사업(과제)을 수행코자 할 때 따져봐야 하거나 혹은 반드시 준수해야 할 절차는 무엇이 있을까? 이에 대한 해답이 처음으로 공개됐습니다.  [공개SW 연구개발 수행 가이드라인]에는 사업계획서 작성 및 제출하는 제안 단계를 시작으로 업무 수행 및 분석 그리고 결과 분석에 관한 세부항목까지 일목요연하게 나열했습니다. 물론 최종 결과물을 일반에 공개하고 활성화에 필요한 홍보 활동 가이드라인까지 총망라한 것 또한 눈여겨 봐둘 귀한 자료입니다.  실제 관련 업계는 입찰 단계에서 어려운 서류작업을 대행하거나 외주로 의뢰할 정도로 어려움을 토로한 것이 사실입니다. 이번 자료 공개에 남다른 의미를 둘 수 있는 것은 암묵적으로 통용되던 그릇된 관행 또한 근절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입니다. 공개된 자료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첨부 파일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공개SW 연구개발 수행 가이드라인  - 목차 제1장. 개요  1. 가이드라인 개요  2. 공개SW의 개념 및 중요성   3. 공개SW 연구개발 과제의 개발 유형   4. 공개SW 특성을 반영한 연구개발 수행절차  제2장. 사업계획서 작성 및 제출   1. 사업계획서 작성   2. 평가지표 확인   3. 공개SW 라이선스 선정  제3장. 공개SW 연구개발 수행  1. 공개SW 개발방식의 특성  2. 요구사항 분석 단계에서의 공개SW 특성  3. 설계 단계에서의 공개SW 특성  4. 구현 단계에서의 공개SW 특성  5. 테스트 단계에서의 공개SW 특성 제4장. 공개SW 커뮤니티 운영  1. 커뮤니티의 목적  2. 커뮤니티의 구조  3. 커뮤니티의 운영  4. 커뮤니티의 활성화 ↘ 공개 SW연구개발 수행 가이드라인 다운받기  ↙  
    • 공지사항
    • 허혜정.
    • 2018.04.25
    • 9927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홈페이지 유지보수 용역
    • 제출마감일자 : 2018. 5. 8. (화요일) 15시까지
    • 접수방법 : NIPA전자계약시스템을 통한 온라인 접수 (http://cont.nipa.kr)
    • 이슈토론
    • 2018.04.25
    • 3325
    헤드카운팅 철폐논란, 종지부는 찍힐까?

    사람 머릿수가 곧 기술 척도라 여겨온 것이 SW 업계의 해묵은 관행이다.  그래서 사람 수를 늘리는 데 혈안이 되었고 다양한 무리수가 속출했다. 한 명이라도 더 늘리기 위한 꼼수 전략이다. 개발 첫 단추를 끼운 초급 개발자가 한순간 귀한 개발자로 둔갑하는 것도 부지기수. 발주사도 속 타고, 입찰사도 속 타고. 오랜 염원이던 논란에 종지부를 직은 혜안이 도마 위에 올랐다. 그릇된 관행에 마침표는 찍힐까?

    • 공지사항
    • 허혜정
    • 2018.04.24
    • 9842
    디지털 신산업 정책 이슈 발굴을 위한 문헌조사 및 연구 네트워크 운영
    • 제출마감일자 : 2018. 5. 8. (화요일) 15시까지
    • 접수방법 : NIPA전자계약시스템을 통한 온라인 접수 (http://cont.nipa.kr)
    • 이슈리포트
    • 이동현
    • 허정
    • 김정민
    • 2018.04.23
    • 19132
    유망 SW분야의 미래일자리 전망

    제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SW에 기반한 자동화와 연결성이 극대화되면서 기존산업과 고용환경의 혁신적 변화가 진행 중이다. (후략)

    • 미래일자리
    • 제4차 산업혁명
    • 인력수급
    • 인공지능
    • 클라우드
    • 빅데이터
    • 증강/가상현실
    • 월간SW중심사회 2018년 4월호
    • SW정책제안
    • 2018.04.20
    • 3484
    이메일 대용량 첨부파일의 문제점 개선요청

    이메일 대용량 첨부파일의 경우 로그인 없이 URL만으로 누구나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요즘 문제되는 매크로 프로그램으로 경로 (URL) 문자를 자동으로 바꾸면서 입력하면 누구든지 다운로드 됩니다. 모든분야의 중요문서의 보안이 취약합니다. 대용량 첨부파일 다운로드 현황을 사용자가 볼수 있도록 하고 로그인 없이 대용량 첨부파일 다운로드를 할수 없도록 개선이 필요할듯 합니다.

    • 이슈토론
    • 2018.04.18
    • 3308
    20년 이어온 공인인증서 폐지... 인증기관 대응은?
    • 설문조사
    • 2018.04.18
    • 2794
    2017년 SW정책 오픈 커뮤니티 만족도 조사 결과(2017.12.14)

    2017년 SW정책 오픈 커뮤니티 만족도 조사 결과 2017.12.14. ᄋ (응답률) 가입자 수 기준 4% ᄋ (응답자 특성) SW관련업계 종사자, 평균 경력년수 13.6년 ᄋ (설문 결과) 응답자들은 SW정책에 대해 함께 토론할 수 있는 장이 마련된 것에 대해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입장임 ᄋ (개선점 수렴) -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이슈 발굴과 홍보를 더 적극적으로 추진 - 소수의 관리자만 의견을 적다 보니 다른 회원들은 지켜보기만 할 수 있으므로, 중심회원을 관리하여 의견을 수렴하는 형태를 제언 - 카드뉴스는 간단해서 좋은데 정책/이슈를 설명하는 문서를 함께 올려서 조금 더 다각적으로 생각하고 검토하여 의견 교환이 될 수 있었으면 하며, 누구나 토론이 가능한 주제를 제시했으면 좋겠음 - 페이스북 타임라인 기능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이 있었으면 좋겠음 ᄋ (2018년 개선점 반영 추진) - 운영 홍보 전략, 중심회원 관리 및 이슈토론 콘텐츠 발굴 방안 마련 - 페이스북, 네이버 블로그로 채널 다원화 및 홈페이지 기능 추가

    • 열린소리
    • 2018.04.17
    • 2720
    SW정책 오픈커뮤니티 개설을 환영합니다.

    SW정책 오픈커뮤니티 개설을 환영합니다. 그동안 SW와 관련하여 일부 페이스북을 통해 이루어 졌으나, 양방향으로 소통 및 공유 할 수 있는 공간은 없었던 같습니다. 이제 오픈커뮤니티가 개설되었으니 많은 SW기업과 SW개발자분들이 함께 참여하고  많은 관심이 보여지길 기원합니다.

    • 공지사항
    • 허혜정
    • 2018.04.17
    • 10442
    新SW기술 분야 기업경쟁력 분석을 위한 기업생태계 현황조사
    • 제출마감일자 : 2018. 4. 30. (월요일) 15시까지
    • 접수방법 : NIPA전자계약시스템을 통한 온라인 접수 (http://cont.nipa.kr)
    • 이슈토론
    • 2018.04.16
    • 3057
    망중립성, 유지해야 할까요?

    미국은, 지난해 말 망중립성 폐기를 결정했습니다. 국내에서도 망중립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 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우리 인터넷 기업에게 망중립성은 어떤 의미일까요? 인터넷 기업 생태계의 발전을 위하여 망중립성은 유지되어야 하나요?

    • 이슈토론
    • 2018.04.16
    • 2077
    공개소프트웨어는 상용소프트웨어의 대안인가?

        공감, 소통의 오픈 SW정책 커뮤니티에서는 토론을 위한 첫 주제로 '공개 소프트웨어'를 주목해 보았습니다. 공개소프트웨어는 상용소프트웨어와 대립하는 개념일까요? 정부에서 정보화사업을 할 때 공개소프트웨어의 적용을 사전 검토하도록 권고하는 정책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댓글로 의견을 달아 주세요 ^^

    • 공지사항
    • 허혜정
    • 2018.04.13
    • 10558
    SW산업정책 효과분석을 위한 연산일반균형모형 구축 연구
    • 제출마감일자 : 2018. 4. 24. (화요일) 15시까지
    • 접수방법 : NIPA전자계약시스템을 통한 온라인 접수 (http://cont.nipa.kr)
    • 포럼
    • 추형석
    • 2018.04.12
    • 12094
    차세대 인공지능의 현황과 과제 (2018. 4.24 | 35회)
    • 일시 :2018년 4월 24일(화) 18:00 ~ 21:00
    • 장소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대회의실
    • 논의안건 :차세대 인공지능의 현황과 과제
    • 인공지능
    • 뉴로모픽칩
    • 월간SW중심사회 2018년 5월호
    • 초청세미나
    • 안미소
    • 2018.04.11
    • 8835
    이영성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 원장) 사회 안전 이슈에서 보는 제4차 산업혁명과 보건의료 新산업

    ㅇ 사회현안과 공중보건에서의 데이터 활용

    ㅇ 의료정보기술의 현황과 SW 정책방향

    • NECA
    •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헬스케어
    • 월간SW중심사회 2018년 5월호
  • 처음 이전 798081828384858687 다음 마지막
이메일주소 확인
SPRi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 712번길 22 글로벌 R&D센터 연구동 B 4층     개인정보처리방침

Copyright © 2014-2021 By Software Policy &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출처표시,변경금지) 웹접근성인증마크
뉴스레터 구독하기
다양한 소프트웨어 관련 소식을 전달해드립니다.
구독을 하시면 이메일을 통해 매달 <SPRi 뉴스레터>를 보내드립니다.
개인 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필수)
  • 뉴스레터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 정보를 수집·이용 및 제공하고자 합니다.
    내용을 자세히 읽으신 후 동의 여부를 결정하여 주십시오.
  • 가입자는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최소한의 개인정보 수집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항목, 수집목적, 보유기간 내용이 담겨있는 표
항목 수집목적 보유기간
이메일 SPRi 뉴스레터 발송, 신규 콘텐츠, SPRi 소식 등 제공 수신거부 시 까지

뉴스레터 구독 해지 하기
뉴스레터 구독을 해지하시면 뉴스레터 발송을 위해 저장되었던 이메일 정보가 삭제되며,
제공되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