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2P 소셜 네트워크는 공급자와 수요자 양방향의 플랫폼으로 작용되고 있음
2. 공유와 개방의 가치를 전파하고, 이에 상응하는 사람과 조직을 연결하는 활동이 매우 중요하며, 이와 같은 활동은 집단 지성으로 하여금 사회적 진화를 이끌어냄
인공지능(AI)이 발달하면서 기업들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고용보다는 값싸고 믿음직한 AI에 투자할 것이다. 고용은 줄어들지만 기업들은 쉽게 고소득을 올리게 된다. 따라서 양극화의 현상이 심화될 것이다. 50대 50의 양극화가 아니라 극소수의 고소득자와 대부분의 저 소득층으로 양극화 될 것이다. 1대 99, 혹은 그 이상의 양극화가 될 것이다. 양극화는 피할 수 없다 그렇지만 양극화 속에서도 모두가 행복한 세상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1. 국내 인공지능 인프라 조성을 위해서는 저장소의 보안 문제를 해결해야 함
2. 현재 국내 기업의 경우 100장 수준의 GPU를 사용하고 있으나, 보유 기업의 절대적 수가 미국,일본 등에 비해 매우 부족한 실정임
“소프트웨어(SW) 중심 지능정보사회 대응 국가 혁신전략이 절실합니다. 정부도 단발적인 투자가 아닌 SW인력 양성에 집중해야 합니다.” 김진형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장은 30일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 사회 대응하는 SW중심 국가혁신 정책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이 밝혔다.
올해 다보스 포럼에서는 우리 삶의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꿀 기술혁명이 곧 다가 온다고 주장하고 이를 제4차산업 혁명이라고 지칭했다. 이번 변화의 규모와 범위는 인류가 이전에 경험했던 것과는 비교가 안될 정도로 깊고 광범위 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럼 그 변화를 가져오는 기술의 실체는 무엇일까?
- 기계학습의 원리, 능력과 한계 (김진형 SPRi 소장)
- 알파고의 구성 (김석원 SPRi SW융합정책연구실장)
- Deep-Learning 공개소프트웨어 (김수형 전남대학교 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
알파고의 구성 (김석원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SW융합정책연구실장)
알파고의 능력은 어디에서 오는가?
- 일시 : 2016년 3월 24일(목) 19:00 ~ 20:15
- 장소 :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1층 기가홀
- 주최 : (사)앱센터,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Deep-Learning 공개소프트웨어 (김수형 전남대학교 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
알파고의 능력은 어디에서 오는가?
- 일시 : 2016년 3월 24일(목) 19:00 ~ 20:15
- 장소 :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1층 기가홀
- 주최 : (사)앱센터,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기계학습의 원리, 능력과 한계 (김진형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소장)
알파고의 능력은 어디에서 오는가?
- 일시 : 2016년 3월 24일(목) 19:00 ~ 20:15
- 장소 :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1층 기가홀
- 주최 : (사)앱센터,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embedyt alt="Augmenting Human Mind by Artificial Intelligence - Prof. Dr. Andreas Dengel, Director(German Research Center for Artificial Intelligence)"]https://www.youtube.com/embed/qnnKoKvBTMw[/embedyt] 2016 SPRi Spring Conference – AI is Here. 성큼 다가온 인공지능(2016. 3. 8)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공개된 발표자료 다운로드 및 다른 강연 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 /post/14758
[embedyt alt="Changes in future jobs - 김석원 책임연구원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https://www.youtube.com/embed/fDVw19Xnxw8[/embedyt] 2016 SPRi Spring Conference – AI is Here. 성큼 다가온 인공지능(2016. 3. 8)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공개된 발표자료 다운로드 및 다른 강연 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 /post/14758
[embedyt alt="Watson, Cognitive Computing Business Strategy - 이강윤 상무 (한국IBM)"]https://www.youtube.com/embed/8RVEYGdWjEc[/embedyt] 2016 SPRi Spring Conference – AI is Here. 성큼 다가온 인공지능(2016. 3. 8)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공개된 발표자료 다운로드 및 다른 강연 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 /post/14758
[embedyt alt="Business Impact from AI - 정성일 상무 (Deloitte)"]https://www.youtube.com/embed/F_b2ALbh3Ww[/embedyt] 2016 SPRi Spring Conference – AI is Here. 성큼 다가온 인공지능(2016. 3. 8)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공개된 발표자료 다운로드 및 다른 강연 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 /post/14758
■ 게임 업계 글로벌 매출 비중 호조
■ 거세지는 중국 IP 확보 공세와 규제 강화
■ O2O 시장 선점을 위한 글로벌 기업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드론, 자율주행로봇 등 신기술을 사용한 다양한 서비스 등장이 가속화
■ 국내 기업이 혁신적인 서비스를 개발하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규제를 개선하고 연구개발 지원을 강화
■ SW기술의 발전과 스마트폰의 확산으로 공유경제가 새로운 경제 모델로 발전 중
■ 불필요한 규제가 공유경제 확산에 걸림돌이었으나, 최근 차량공유와 숙박공유 관련 규제가 해소됨
- 하지만 여전히 서비스의 공유에 대한 규제 해소, 기존 산업과의 이해관계 충돌 등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함
사회안전을 위해 안전한 소프트웨어 적용
- 국내에서 안전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어, 각 기관은 재난 및 사고 예방을 위해 안전지수를 만들어 제공하고, ICT를 이용하여 다양한 안전정책을 추진
- 자동차, 철도 등 안전과 밀접한 교통 부문에서 IoT 등 신기술과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안전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음
- 안전과 밀접한 산업에 소프트웨어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어 국제표준에 소프트웨어안전 준수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가전 분야가 추가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