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 :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무인화·자동화 기술의 위험 분석(Hazard Analysis)과 위험 평가(Risk Assessment) 기술 국제 동향 및 국내 자동차·항공 분야 산업 동향 소개 및 논의
- 일시 : 2018년 11월 29일(목) 09:00~16:40
- 장소 :코엑스 그랜드볼룸 104호, 105호
공개소프트웨어(공개SW)는 개발 과정의 효율성과 결과물의 투명성으로 인한 장점들 때문에 소프트웨어 업계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으며 최근에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신기술 분야의 기술 발전을 주도하면서 그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후략)
▪ 공개SW는 기존 영역(예: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과 새 영역(예: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에서 모두 중요해지고 있음
▪ 특히, 허용적 사용권(Permissive License)의 증가와 GPL(GNU Public License)의 감소는 공개SW의 상업적 활용의 증가를 의미함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라는 용어는 케빈 애쉬턴(Kevin Ashton)이 1999년에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후략)
▪ 새로운 저전력 블루투스(BLE) 기술인 ‘블루투스5’는 최근 삼성, LG, 애플 스마트폰에 적용되고 있음
▪ 블루투스5는 전송 속도 향상, 전송 거리 향상, 다양한 비콘(Beacon) 서비스가 가능해지고, 실외에서 사물인터넷(IoT)의 연결 인프라로 활용이 가능해짐
▪ 블루투스 SIG(Special Interest Group)는 2017년 7월 Flooding 기반의 새로운 Mesh 네트워크 프로파일 표준 제정
▪ Flooding Mesh 프로파일은 복잡한 라우팅 동작 대신 단순한 재전송(relay) 동작을 이용한 무선 메시 기술로 저전력 소물 IoT 기기 통신 인프라로 활용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