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5.02.27
    • 13230

    한국은 시장 초기 정부사업에 힘입어 추격을 시작했으나, 기업간 저가․출혈경쟁을 하며, 추가적인 기술력 제고 및 외국기업과의 격차 해소에 실패한 반면, 중국은 초기 시장진입 후, M&A 등 재빠른 기술습득을 통해 다양한 업종으로 확대하여 현재 60% 이상의 자국 시장을 점유

    • 2015.02.27
    • 11621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산업은 한마디로 매우 열악하다. OECD 19개국 중에서 14위에 불과하다. 시장규모도 20조원 수준으로 작아서 全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 불과하고 그 성장률은 1% 내외다. 우리나라 소프트웨어 기업은 대체로 영세하고 글로벌 경쟁력이 취약하다.

    • 2015.02.27
    • 10078

    일론 머스크는 프로그래머였다. 그러나 지금은 단순한 프로그래머가 아니다. 이제 프로그래밍 씽킹을 통해 우주선 설계와 고속 열차 제작을 혁신하고 있다. 그를 아이언맨의 실제 주인공이라고들 말할 정도이다. 프로그래밍 씽킹이 어떤 것이기에 그를 전통 산업을 혁신하는 주체가 되도록 만들었을까?

    • 2015.02.27
    • 9459

    수학책이나 퀴즈에서 자주 등장하는 문제 하나. 어느 연못에 매우 빨리 자라는 풀이 있다. 이 풀은 하루가 지나면 그전날보다 정확히 두 배의 면적을 차지하도록 자란다. 풀 한 포기에서 시작하여 연못을 가득 채우는데 까지 40일이 걸렸다고 하자. 풀 한포기가 연못의 반을 채우는 데는 며칠이 걸릴까?

    • 2015.02.27
    • 10711

    지난 12월 23일, 구글이 자체 제작한 자동운전차 시제품을 공개했다. 이전까지 구글은 프리우스, 렉서스 등 기존 자동차를 개조하여 도로주행 테스트를 진행해 왔다. 그러나, 이제 구글이 자체적으로 설계·제작한 실제로 작동하는 자동차를 선보인 것이다.

    • 2015.02.27
    • 9788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라’라는 말이 있다. 미국 인지 언어학자 조지 레이코프가 쓴 책의 제목으로 선거 전략 프레임 이론을 얘기할 때 대표적으로 거론되는 말이다. 사람들은 그 말을 듣자마자 머릿속으로 코끼리(미국 공화당 상징)를 떠올리며, 무의식적으로 코끼리의 틀에갇히게 된다.

    • 2015.02.27
    • 10696

    새로운 시대를 살아갈 미래세대에게 그 시대가 요구하는 능력의 교육 훈련이 필요하다.
    교육이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면 그 사회와 국가는 몰락하고 말 것이다. 다가오는 소프트웨어(SW) 중심사회에선 읽고, 쓰고, 셈하는 것과 같이 컴퓨터를 이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필수소양이 될 것이다. 다시 말해 컴퓨터 프로그래밍 능력이 필요하다. 영어권에선 이를 코딩이라고 부른다.

    • 2015.02.27
    • 12288

    성균관 대학교 정보통신대학 졸업생 여러분!> 여러분의 영광스러운 졸업식에 축사를 하게 된 것을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저는 KAIST 에서 30년을 교수로 봉직했지만 정작 KAIST 졸업식에서는 축사를 해 볼 기회를 한번도 얻지 못 했습니다.

    • 2015.02.27
    • 10617

    적지 않은 사람들이 취미나 오락으로 게임을 한다. 놀이는 일상에서 일어난다. 더러 갓난아이도 엄마와 놀이를 하는 것을 보면, 인간의 본능적인 것 중 하나가 놀이가 아닐까 생각한다. 인류학에서도 놀이의 역사를 인류의 역사와 같이 본다. 이처럼 역사적으로 누적된 문화유산으로서 놀이는 다양한 형태로 우리 생활과 같이 했다. 따라서 게임을 부인하는 것은 문화를 부인하는 것과 다름이 없다.

    • 2015.02.27
    • 11195

    김규호 박사, 앱센터 전문위원> “소프트웨어”가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이, 말하는 사람에 따라, 그리고 맥락에 따라 종종 다른 의미를 가지는 것 같다. 먼저, 한 수준 더 세부적인 단계에서 이를 설명하고 있는 부분을, NHN Next 김평철前학장의 2012년12월 강연내용으로부터 요약 인용한다.

    • 2015.02.27
    • 11123

    2015년 1월 새해를 시작하는 시기에 출판된 책 한권이 세간을 떠들썩하게 만들고 있다. 다름 아닌 삼성출신 저자가 출판한 ‘삼성의 몰락’이 그것이다. 작년 여름 이건희 회장의 병세가 악화되면서, 삼성의 미래에 대해 다소 어두운 전망이 있었지만 그래도 지금처럼 ‘몰락’을 논하는 수준은 아니었다. 사실 2013년 삼성은 184조 원을 달성한 애플보다도 약 20% 이상 높은 228조 원의 매출을 달성했었다.

    • 2015.02.26
    • 11274

    미국의 유명 벤처캐피털리스트인 마크 안드레센은 2011년에 “소프트웨어가 세상을 집어삼키고 있다.
    (Software is eating the world)”고 설파했다.

    • 2015.02.20
    • 10947

    DB 사업, 온라인 쇼핑, 국가정보화 사업, PC 시장에 대한 통계.

    • 2015.02.20
    • 11337

    소프트웨어 생산 현황, 소프트웨어 수출 현황에 대한 통계.

    • 2015.02.16
    • 12039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기술자 신고제를 재검토하여 제도 유지의 필요를 찾고 만일 필요가 적다면 수정하거나 폐 지하는 것이 합당하다는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 2015.02.16
    • 10612

    1996년 이후 모바일의 발전은 비약적이었으며, 산업적 측면에서 전체적인 역사와 조망을 살펴보고자 함. 스마트폰이 오늘날 다른 이동 기기들 중에서도 지배적 디자인이 된 계기는 멀티터치(터치 스크린)로 대표되는 UI/UX의 편리함임

  • SW와 관련된 저작권법 규정 중 산업계 및 기타 단체들에 서 개정의견을 낸 조항과 그 외 법적 분쟁이 발생하고 있 는 사안들에 적용되고 있는 조항들을 면밀히 살펴 법률 개 정안을 도출하였음

    • 2015.02.16
    • 3646

    2015년 이후 SW산업의 발전방향은?
    글로벌 차원의 IT트렌드와 국내의 SW R&D 동향을 리뷰함으로 '15년 이후 SW산업종사자 들이 취해야 할 전략방향을 전망합니다.

    실리콘 밸리 개발자, 삶과 일을 말하다.
    더 나은 개발문화를 위한 돌파구를 함께 이야기할 개발자 분들을 초대합니다.

    저명한 명사의 화려한 수사가 아닌 실리콘밸리 현장의 노련한 개발자들과의 대화의 시간을 통해, 그들과 대화를 마음에 담고 우리가 사는 이 현장의 변화를 모색합니다.

    • 2015.02.16
    • 3615

    2015년 이후 SW산업의 발전방향은?
    글로벌 차원의 IT트렌드와 국내의 SW R&D 동향을 리뷰함으로 '15년 이후 SW산업종사자 들이 취해야 할 전략방향을 전망합니다.

    실리콘 밸리 개발자, 삶과 일을 말하다.
    더 나은 개발문화를 위한 돌파구를 함께 이야기할 개발자 분들을 초대합니다.

    저명한 명사의 화려한 수사가 아닌 실리콘밸리 현장의 노련한 개발자들과의 대화의 시간을 통해, 그들과 대화를 마음에 담고 우리가 사는 이 현장의 변화를 모색합니다.

    • 2015.02.16
    • 3284

    2015년 이후 SW산업의 발전방향은?
    글로벌 차원의 IT트렌드와 국내의 SW R&D 동향을 리뷰함으로 '15년 이후 SW산업종사자 들이 취해야 할 전략방향을 전망합니다.

    실리콘 밸리 개발자, 삶과 일을 말하다.
    더 나은 개발문화를 위한 돌파구를 함께 이야기할 개발자 분들을 초대합니다.

    저명한 명사의 화려한 수사가 아닌 실리콘밸리 현장의 노련한 개발자들과의 대화의 시간을 통해, 그들과 대화를 마음에 담고 우리가 사는 이 현장의 변화를 모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