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I를 활용해 영화산업의 변화를 노리는 할리우드
2. MIT·IBM, COVID-19 대응 10대 AI 협력과제 추진
3. NVIDIA, AI 인프라를 위한 차세대 GPU 아키텍처 공개
4. Facebook, 혐오 표현(Hate Speech) 탐지 AI 성능 강화
1. AI를 활용해 영화산업의 변화를 노리는 할리우드
2. MIT·IBM, COVID-19 대응 10대 AI 협력과제 추진
3. NVIDIA, AI 인프라를 위한 차세대 GPU 아키텍처 공개
4. Facebook, 혐오 표현(Hate Speech) 탐지 AI 성능 강화
안녕하세요. 보고서 정말 잘 보았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보고서 78페이지 상단에 "10. 클라우드 게임 시장의 선점 경쟁" 이 부분을 "10. 언택트(untact) 서비스 영역 확대"로 바꾸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아래에 첨부한 보고서 게시글 페이지 목차에도 이와 동일하게 표기 되어있습니다. 의견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중국 우한에서 발생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로 세계가 경악에 빠졌다. 4월 13일 오후 8시 현재 코로나19 사망자가 세계적으로 11만 3,000여 명에 달하고 확진자가 18만 명에 육박했다. 처음 중국에서 발생할때만 해도 ‘블랙 스완(Black Swan, 어쩌다 한번 일어나는 큰 사건)’인줄 알았는데(후략)
2020년 1월 8일 한국에서 코로나19 감염 의심환자가 처음 확인되었다. 그후로 3개월이 지난 요즘은, 벚꽃놀이를 하며 많은 사람들이 거리로 나올 시기가 되었지만, 확진자 수가 1만 명을 넘고, 정부는 여의도의 벚꽃놀이를 통제 하고 있다. 거리의 가게에는 손님들을 찾아볼 수 없으며 엘리베이터를(후략)
코로나19에 대한 효과적인 대책은 결국 ‘사회적 거리두기’였다고 할 수 있다. 백신이 없고 치료제가 없는 상태에서 전염병에 대한 대책은 결국 가장 초보적인 방식인 우리 행동을 바꾸는 것이었다. 사회적 거리두기는 여러 형태로 일어났다. 개학 연기, 예배 등 종교행사 중단, 대중 이용시설 폐쇄, 온라인 쇼핑, 재택근무 등(후략)
최근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SW 신기술의 융합으로 빅블러(Big Blur)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빅블러 현상은 SW 신기술 발전에 따라 기존 산업 간, 온·오프라인 간 경계가 모호해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아마존은 이러한 빅블러 현상을 대표한다. 1994년 온라인서점으로(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