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의안건 공공SW의 새로운 패러다임 – SI형 구축방식에서 사용중심의 서비스방식으로
공공SW의 뉴 패러다임 유재흥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선임연구원)
해외 공공SW 동향 김숙경 (동국대학교 교수)
공공SW에서 민간참여방안 이원재 (KAIST 겸임교수)
논의안건 공공SW의 새로운 패러다임 – SI형 구축방식에서 사용중심의 서비스방식으로
공공SW의 뉴 패러다임 유재흥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선임연구원)
해외 공공SW 동향 김숙경 (동국대학교 교수)
공공SW에서 민간참여방안 이원재 (KAIST 겸임교수)
온라인 개인 방송 플랫폼의 확산으로 인한 MCN의 부상
신선하고 재미있는 콘텐츠를 가진 개인 BJ들을 연합한 기획사 MCN
개인방송플랫폼, 지상파, OTT, IPTV 사업자등이 콘텐츠 수급 채널로 주목
전반적인 온라인 방송 시장의 성장으로 미디어 생태계 동반 성장 촉발
기업 문화의 우월을 논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최고경영자가 성과에 매몰돼 직원들의 불평과 불만, 관행이라고 불리는 부조리와 부도덕을 모른척하는 것은 분명한 직무 유기다. CEO마다 추구하는 문화적 방향은 다를지언정 보상의 공정함과 절차의 일관성은 유지되어야 한다. 기업 문화를 좌우하는 CEO의 말은 절대 립서비스로 그쳐서는 안되는 이유다. 논쟁의 한가운데 있는 아마존 CEO의 말을 인용하며 글을 맺는다.
모바일 시장 경쟁 가속화 : 다양한 소매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모바일 쇼핑 시장에 진출하고 있어 기업들의 수익성이 악화될 전망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 모바일 쇼핑 업체는 230여 개로 기업 간 경쟁 심화
특히, 오프라인 기반의 소매기업이 추진하는 모바일 채널 강화 전략은 채널갈등*을 야기하고 멀티채널 운영비용 상승을 초래
편리성, 안락함, 즐거움 등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특성으로 도입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관련 시장도 급속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
통신, 가전 제조, IT 플랫폼 기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업들이 시장에 참여하면서 시장 선점과 표준 주도, 사업자간 합종연횡 등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
모바일 세상을 제패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영역에서 고객과의 라이프 접점 확보가 가장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옴니채널을 구축하는 것이 승리의 발판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비IT 융합 사업 확장과 해외 진출 확대를 앞세워 성장 정체 돌파
4대 IT서비스 기업의 2014년 해외 매출은 전년 대비 36.1% 증가, 총 연결 매출의 30.2% 차지
SMAC과 IoT를 기반으로 금융, Industry 4.0, 환경 등 융합산업 진출과 BPO·유통 등 비IT사업으로 다각화 추진
의료분야에서 음성인식 SW는 세부 시장에 따라 전략적 접근 필요
음성기반 전자의무기록(EHR/EMR) 지원 SW는 의료분야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나 국가별 의료 관련 제도와 규제 고려한 접근 필요
개인용 의료보조 기기의 제어와 음성인식을 통한 언어 장애, 개인 감정 및 건강 상태 분석 SW로서 글로벌 잠재력 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