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발전법 통과와 함께 클라우드 도입이 활발히 진행될 전망
공공시장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며 점진적으로 민간기업 시장도 확대될 전망
국내 SW 기업들도 자체 솔루션의 클라우드화를 통해 시장 성장에 대응하고 있으나 현재는 제품/서비스(SaaS) 영역에 한정된 상황
클라우드 발전법 통과와 함께 클라우드 도입이 활발히 진행될 전망
공공시장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며 점진적으로 민간기업 시장도 확대될 전망
국내 SW 기업들도 자체 솔루션의 클라우드화를 통해 시장 성장에 대응하고 있으나 현재는 제품/서비스(SaaS) 영역에 한정된 상황
본 이슈리포트는 클라우드 국내 정책 동향과 클라우드 발전법 통과 에 따른 기대 효과를 살펴보고 공공 클라우드 도입을 성공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도입 기준 수립 시 고려 사항을 구체화
■ 국내 운영체제와 웹브라우저 간 고착화(Lock-in) 현상으로 인해 특정 웹브라우저의 쏠림현상 지속
- 국내 PC 환경에서는 윈도우 운영체제의 영향으로 전체 사용자들 중 87.50%가 인터넷 익스플로러(IE)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국내 모바일 환경에서는 안드로이드의 높은 점유율에 힘입어 안드로이드 브라우저가 전체의 73.61%를 차지
클라우드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업들이 자율적으로 혁신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개인정보는 엄격하게 보호돼야 하겠지만, 정보통신자원의 유연한 이용환경을 만들어내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한국 SW는 한 차원 높은 성장을 이룰 것으로 기대된다.
욘 알트만 교수는 클라우드라는 서비스 지향 컴퓨팅을 통해 자원, 관리, 사용의 소유권을 분리할 수 있게 되었으며, SME(중소기업)에게 대기업과 경쟁할 수 있는 큰 기회를 열어주게 되었다고 강조
1996년 이후 모바일의 발전은 비약적이었으며, 산업적 측면에서 전체적인 역사와 조망을 살펴보고자 함. 스마트폰이 오늘날 다른 이동 기기들 중에서도 지배적 디자인이 된 계기는 멀티터치(터치 스크린)로 대표되는 UI/UX의 편리함임
클라우드 이용 촉진을 위해 기존 규제31)에 대한 완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부 및 정책 기관들의 지원32), 이용자의 신뢰를 형성할 수 있는 법제도적인 기반33)을 마련하는 것이 필수적임
EC와 EUROSTAT가 실시한 2014년 기업 ICT 활용 조사의 결과로 유럽 내 10인 이상의 업체들의 97% 이상이 참여핀란드(51%), 아이슬란(43%), 이탈리아(40%), 스웨덴(39%), 덴마크(38%) 등 국가들의 클라우드 이용률이 매우 높은 것으로 집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