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시: 2015년 4월 28일 화요일 11: 00~ 13:00
- 장소: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회의실
- 주제: 소프트웨어 중심사회 현재와 미래
- 참석자: 대내외 전문가
2014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의 총 펀딩 규모는 41억$(전년대비 125% 증가)로, 한국에서도 Health 2.0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음
무어의 법칙에 따르면 2006년이 IT기술 발전 2년 주기의 32번째 되는 해로써 이미 우리는 기하급수적 발전 양상의 후반부에 접어들었고, 따라서 IT 기술은 의료와 약학 분야의 혁신을 견인할 충분한 잠재력과 가능성이 있음
편성 : KBS1 소개 : 교실혁신 프로젝트 '거꾸로교실'의 진행 과정을 기록한 4부작 프로그램 기획의도 : 거꾸로 교실 현장을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배양, 교사와의 관계변화 등 바람직한 미래 교육환경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KBS 보도자료 : http://office.kbs.co.kr/cyberpr/archives/137645 1편 거꾸로교실 바이러스 (3월 19일) 2편 꼴찌들의 반란 (3월 20일) 3편 달팽이 질주하다 (3월 27일) 4편 수업의 진화 (4월 3일)
가상현실 기술은 1960년대부터 군사 및 훈련용 시뮬레이터 개발에 이용되어 왔다. 최근 컴퓨팅 및 디스플레이 기술이 발전하고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이 성장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고품질의 부품 확보가 현실화되고 있다. 그에 따라 비교적 저렴한 가격의 가상현실 디바이스가 등 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SW스타트업 현황
1. 창업자금 규모
2. SW 창업∙폐업 비율
3. SW벤처기업의 성장속도
4. SW기업의 일자리 창출
5. SW벤처기업 투자 수익성
SW스타트업 현황,시사점 및 과제
세계 모바일 지급결제 시장이 빠르게 확대됨에 따라 국내에서도 모바일 지급결제 시장에 대한 관심 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편리한 지급 결제 관련 환경으로 모바일 지급 결제 시장의 확대 가 늦어지고 있으나 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사업자들의 국내 진출에 따른 영향이 가시화되고 있다.
박재천 교수는 인터넷은 개방형 시스템인 것에 반해 DNS는 계층적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따라서 DNS의 Root Server를 장악하는 것이 인터넷 가버넌스에 중요하다 밝힘
이러닝, IoT, 웨어러블 디바이스, 모바일 광고에 대한 통계.
기업 비즈니스 동향 (M&A, 제휴, 해외 진출 등)
모바일 시장을 중심으로 생체인식 기술 적용 사례 및 활용 노력이 확대
스마트폰, 태블릿PC, 웨어러블 기기 등 최신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보안 수단으로 생체인식을 적극적으로 활용
특히, 핀테크 서비스의 인증 및 보안 수단으로 생체인식 기술이 주목받고 있어 향후 빠른 성장 세를 보일 전망
뉴스 콘텐츠 유통의 중심이 모바일 및 SNS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
주요 글로벌 언론사들은 뉴스 공급 및 마케팅을 위해 모바일을 적극적으로 활용
페이스북, 스냅챗 등 SNS 전문기업들이 뉴스 유통 사업을 추진 중이며, 새로 떠오르는 미디어 기업들도 모바일 및 SNS를 적극적으로 활용
국내외 모바일 인터넷 경제,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
글로벌 모바일 인터넷 경제는 2017년까지 매년 23%씩 성장할 전망이며 국내도 9%대의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전망
한편, 국내 모바일 생태계는 앱, 콘텐츠, 서비스 부문의 비중이 글로벌 시장보다 다소 낮은 상황
IoT, Connectivity 시대 도래 전망에 따라 글로벌 ICT 기업은 스마트홈 사업 확장을 위한 전략 마련에 주력
스마트홈 시장은 유선 기반 홈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기반 융합형 사업 모델 시대로 패러다임 전환
제조, 통신, 플랫폼 기업들은 다양한 ICT 융합 및 IoT 기반의 스마트홈 제품 및 서비스를 선보 이며 스마트홈 생태계 구축에 주력
금융권, SW 업계, 스타트업 등 다양한 기업들이 핀테크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
금융권은 핀테크 관련 서비스 및 상품 출시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국내 SW 기업들도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핀테크 시장을 주목
다양한 스타트업 기업들도 핀테크 관련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
클라우드 발전법 통과와 함께 클라우드 도입이 활발히 진행될 전망
공공시장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며 점진적으로 민간기업 시장도 확대될 전망
국내 SW 기업들도 자체 솔루션의 클라우드화를 통해 시장 성장에 대응하고 있으나 현재는 제품/서비스(SaaS) 영역에 한정된 상황
기술분야 취업을 지원하는 새로운 기술인재 고용 이니셔티브(New TechHire Initiative) 발표 -20개 주의 Forward-leaning 커뮤니티를 통해 고용주의 기술직에 대한 접근성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