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185

인공지능 기술·산업 생태계 육성방안 연구

  • 봉강호SW기반정책·인재연구실 선임연구원
  • 안성원AI정책연구실 실장
날짜2025.04.30
조회수226
글자크기
요약문 상세
  • 요약문
    • 인공지능(AI) 기술은 최근 비약적으로 발전하며 전통적인 산업 구조의 근본적인 변화와 새로운 경제 생태계의 형성을 이끌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은 AI 기술을 미래 경쟁력의 핵심으로 보고, 대대적인 AI R&D 투자 및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 추진을 통해 기술 주도권 확보에 각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세계 각국이 나름의 전략과 방법으로 글로벌 AI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에 박차를 가하면서, 기술 주도권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가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고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노력을 더욱 강화해나가야 하며,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추진해야 할 정책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각종 조사·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AI 기술·산업 생태계 육성을 위한 정책 수립에 참고할 수 있는 시사점과 제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주요 국의 AI 정책 추진사례 및 현황을 분석하였다. 미국·중국·EU·싱가포르의 정책 추진 사례와 현황을 분석하여 우리나라가 벤치마킹 또는 참고할 만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 하였다. 둘째, 주요국 및 우리나라의 AI 분야 연구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AI 분야 논문 데이터 수집 방법론의 한계점을 살펴보고, 이를 극복·개선하기 위해 자체 방법론을 개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셋째, 계량경제모형 기반의 실증분석을 통해 국내 AI 기업의 경제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특히 국내 AI 기업 현황에 관한 국가승인통계인 「인공지능산업실태조사」를 활용함으로써 AI 기업에 대해 분석한 기존 연구 대비 객관적이고 대표성 있는 실증적 증거를 도출하여, 실효성 있는 정책 개발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를 확보하였다. 다섯째, 국내·외 AI 공급기업 우수사례를 선정하고, 사례기업(퓨리오사AI, 루닛, Horizon Robotics, Scale AI 등) 분석을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AI 시장 동향에 대해 논의하고, 국내 AI 수요 및 인식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AI 미도입(도입예정) 중소기업 대상으로 자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AI 기술수요 및 인식에 관한 응답결과를 분석 하였다.
    • 결론에서는 본 연구에서 실시한 조사·분석 결과를 ① 정책 및 거버넌스, ② AI 인재 양성, ③ 기업 육성, ④ AI 기반 인프라 등의 네 가지 영역으로 종합하여 정책제언과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영역들을 종합적으로 발전시키려는 노력이 유기적으로 결합될 때, 우리나라가 글로벌 AI 경쟁 속에서 리더십을 발휘하고 선도하는 AI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이는 단순히 AI 분야의 성과를 넘어, AI를 기반으로 전 분야에 걸친 혁신 및 사회문제 해결을 함께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상세
    • 제1장 서 론
    • 제1절 연구 배경 및 필요성
    • 제2절 연구 목적 및 내용
    • 제2장 주요국 정책 추진 현황 분석
    • 제1절 국가별 현황
    • 제2절 소결 및 시사점
    • 제3장 글로벌 AI 연구 현황 분석
    • 제1절 데이터 수집 방법론 개발 필요성
    • 제2절 데이터 수집 방법론
    • 제3절 글로벌 AI 분야 논문 현황 및 시사점
    • 제4장 국내·외 AI 기업 분석 및 사례 연구
    • 제1절 개요
    • 제2절 AI 기업의 경제적 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 제3절 국내·외 AI 기업 우수사례 분석
    • 제5장 글로벌 AI 시장 동향 및 국내 AI 수요 현황 분석
    • 제1절 개요 및 AI 시장 동향
    • 제2절 국내 기업의 AI 수요 현황 및 인식 조사
    • 제3절 소결 및 시사점
    • 제6장 결론
    • 제1절 연구결과 종합
    • 제2절 영역별 정책제언
    • 참고문헌
    • 부록(AI 기술 관련 논문 검색 키워드 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