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S-143
‘디지털 기업가정신’의 부상: 의의와 전망, 그리고 정책적 시사점
  • 봉강호AI정책연구실 선임연구원
  • 이동현SW기반정책·인재연구실 선임연구원
날짜2022.08.24
조회수9063
글자크기
요약문 상세
    • 디지털 전환은 기존 산업의 진입장벽 파괴에 따른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확대, 자산의 디지털화에 따른 초기창업비용의 축소 등 창업 및 기업가적 활동 측면에서 중대한 환경적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학계 및 해외 주요국에서는 기존의 기업가정신 이론으로 기업가들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인식하고 기업가적 가치를 추구하는 일련의 과정을 이해하기에는 충분치 않으며, 기업가정신의 특성 및 영향요인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디지털 기업가정신’이라는 새로운 개념에 대한 논의를 전개해오고 있다. 본 리포트에서는 첫째, 최근 부상하고 있는 ‘디지털 기업가정신’의 등장 배경과 개념, 연구동향 등을 소개한다. 둘째, 최근 발표된 「글로벌 기업가정신 모니터(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의 주요 결과 분석 및 진단을 통해 디지털 기업가정신 측면에서의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 Executive Summary
    • Digital transformation is causing significant environmental changes in entrepreneurial activities, including the expansion of new business opportunities by destroying the entry barriers for the existing industries and reducing the initial start-up costs due to the digitalisation of assets. Owing to these changes, the traditional entrepreneurship theories are no longer sufficient to understand the set of processes through which entrepreneurs recognise new business opportunities and pursue entrepreneurial value in academia and other major countries. Based on the awareness that a new approach towards th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ing factors of entrepreneurship is needed, discussions on the new concept of “digital entrepreneurship” were conducted. “Digital entrepreneurship” can be defined as a spirit of pursuing economic and social opportunities through start-ups or the innovation of the existing business models based on digital technology. This report aim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digital entrepreneurship,” a concept that has emerged in the recent past, and derive policy implications in terms of digital entrepreneurship based on the key findings of the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 which were recently released.
목차 상세
    • Ⅰ. 서론
    • 1. 연구 배경
    • 2. 연구 목적
    • Ⅱ. 기업가정신과 ‘디지털 기업가정신’
    • 1. 전통적 기업가정신
    • 2. '디지털 기업가정신’의 등장
    • III. 2021/2022 글로벌 기업가정신 모니터 주요 결과 분석을 통한 진단
    • 1. 항목별 조사결과 및 주요국과의 비교분석
    • 2. 주요 항목 간 상관관계 분석
    • IV. 결론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