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30년까지 100% 재생에너지 사용 목표를 세우고, 친환경 데이터센터 운영에도 적극적인 노력∙
태양광, 풍력 등 다양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투자하고, 첨단 냉각 기술과 AI 기반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도입해 에너지 효율 개선과 탄소 배출 감축을 추진 중이며, 이러한 노력은 AWS의 글로벌 ESG 전략의 핵심
축으로 자리매김
AWS는 2025년에 차세대 AI 인프라 혁신을 위해 1,000억 달러 투자 계획을 발표하고, ‘레이니어(Rainier)’ 등 대규모 AI 슈퍼컴퓨터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20)
■
‘프로젝트 레이니어(Project Rainier)’는 AWS가 추진하는 초대형 AI 컴퓨팅 이니셔티브로, 단순한 기존 컴퓨팅을 넘어 AI 인프라를 수직 통합하고 데이터센터 규모를 재정의
∙
AWS에서 설계한 수십만 개의 Trainium2 AI*칩으로 구동하는 맞춤형 Trainium2 UltraServer*를 기반으로 세계 최대 규모의 AI 슈퍼컴퓨팅 클러스터 중 하나를 구축 중
* Amazon 2015년 인수한 이스라엘 전자기업 안나푸르나 랩스(Annapurna Labs)에서 개발한 맞춤형 실리콘을 통합하여
대규모 AI 모델 학습을 위해 특별히 제작됐으며, AI 모델이 다양한 복잡한 작업을 빠르게 학습하는 데 필요한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특화
* Trainium2 UltraServer는 16개의 Trainium2 칩을 탑재한 4대의 물리 서버를 통합해 초고속 병렬 연산을 지원하는 새로운
컴퓨팅 솔루션으로, 수만 대가 결합되면 '메가 울트라클러스터(Mega UltraCluster)'와 같은 대규모 AI 슈퍼컴퓨팅 인프로 확장
∙
AWS의 고객사인 Anthropic의 차세대 AI 모델(Claude) 개발 및 배포에 활용할 예정■
AWS의 레이니어 프로젝트는 Microsoft와 OpenAI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Stargate Project)’*와 유사한 하이퍼스케일 전략을 추진하며, 향후 양측 간 경쟁 구도를 형성할 가능성 존재
* OpenAI가 2025년 1월 발표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는 OpenAI, Microsoft, Softbank, Oracle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초
대형 AI 데이터센터 건설 계획으로, 미국 텍사스주 애빌린(Abilene)에 약 5,00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해 2026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최대 40만 개의 GPU를 수용할 수 있는 규모로 AGI(범용 인공지능) 실현을 위한 핵심 인프라로
주목
4) Meta
Meta는 AI 전용 하드웨어 개발과 인프라 최적화, 재생에너지 기반 친환경 운영, 광범위한 AI 연구 협력과 서비스 혁신을 중심으로 글로벌 AI 경쟁력 강화와 지속 가능성 확보에 집중
■
전 세계적으로 대규모 데이터센터 건설 및 업그레이드를 통해 AI 연산자원을 확충해 LLaMA를 포함한 초거대 AI 모델 개발과 페이스북(Facebook), 인스타그램(Instagram) 등 주요 플랫폼의 AI
기능 향상과 신기술 개발 지원
∙
2025년 6월, Meta는 LLaMA 시리즈 등 초거대 언어모델의 학습 고도화를 위해 Scale AI에 140억 달러 투자 계획을 발표*21)
* Scale AI의 데이터 엔진은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를 포함한 다양한 데이터를 자동화 시스템과 사람의 감독을 통해 처리
■
Meta는 AI 데이터센터를 Facebook, Instagram 등 주요 플랫폼의 실시간 콘텐츠 추천, 커뮤니티 관리 자동화, AR/VR 서비스 강화에 핵심 인프라로 활용